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FCL LCL 뜻 장단점과 순조로운 배송

카테고리 없음

by 중국구매대행 8282한중무역 2024. 4. 23. 00:17

본문

 

안녕하세요. 8282한중무역입니다.

이제 자유롭게 여행이 가능하게 되면서 가장 활황산업이 바로 여행업이 되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국내 뿐만아니라 그동안의 답답함을 풀기위해서 해외로도 여행을 가기도 하시고 또 우리나라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해외에서도 우리나라로 많이 여행오시기도 합니다.

 

 

이렇게 여행을 많이 다니시면서 여행객들은 본인들만의 짐을 싸는 노하우들이 생겨나기 시작합니다. 어떻게, 어떤 짐을 쌀때 어디다 넣어야 효율적인지를 나름대로 파악하여가게 되는 것입니다.

 

 

무역업을 하시는 분들이시라면 컨테이너에 짐을 얼만큼 실어야 하는지에 대해 잘 아실 수 밖에 없습니다. 여행을 자주 다니시는 분들이 짐을 잘 싸시는 것처럼 많은 경험을 통해 어떤 방식으로 짐을 가지고 와야하는지 알게 되셨을 것입니다.

컨테이너는 해외의 물건을 수입하거나 수출할때 짐을 안전하게 잘 운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짐가방같은 역할을 해주는 것입니다. 컨테이너에 짐을 싸는 방식이 여러가지가 있는데 오늘은 8282한중무역과 함께 FCL, LCL의 뜻과 그것에 장단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FCL ]

 

Full Container Load cargo의 약자입니다. 글자 그대로 컨테이너를 한 명의 주문자가 주문한 물건을 다 채워서 온전히 컨테이너 박스 하나를 다 사용하는 것입니다.

 

 

물론 컨테이너를 꽉 채우지 않아도 FCL 운송이 가능하지만 그것은 당연히 사업에 있어서 사업자가 그 비용을 고스란히 떠안게되어 물건 단가가 높아지게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컨테이너 하나를 다 채울만큼 물건을 많이 주문하던가 아니면 다른 주문자가 주문한 물건들이 차지하고 남은 컨테이너 부분의 남은자리를 찾아 운송하는 경우가 생길 수 밖에 없습니다. 주문한 상품의 양을 잘 생각하여 판단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FCL의 비용은 상품의 종류, 출발지, 도착지, 양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동거리가 멀다면 더 많이 부담해야 할 것이고 그냥 일반적인 드라이 컨테이너인지 냉동 컨테이너인지에 따라서 부담해야 하는 부분이 차이가 날 수 있음을 잘 아시고 미리 어떻게 주문을 넣어야 유리할지 결정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LCL ]

 

Less than Container Load carge의 약자로 보통 컨테이너 한개를 다채우지 못하는 물건들, 즉 소량으로만 수출 또는 수입하는 경우에는 LCL을 이용하게 됩니다.

 

 

LCL은 FCL보다 적은 공간을 사용하기도 하고 다른 소량의 물건을 주문한 다른 사람과 비용을 분담하기 때문에 합리적으로 수, 출입을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여겨지기도 합니다.

 

 

그러나 그만큼 불편한 점도 많이 존재하기도 합니다.

한사람이 쓰는 한개의 가방에 다른 사람의 짐이 같이 뒤섞이게 되면 나중에 분실의 위험이 커지기도 하고 손상을 입게 될 가능성도 높아지기도 하는 것처럼 컨테이너도 나눠서 사용하게 되면 이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컨테이너 한개에 물건이 다 차지 않으면 운송이 시작되지 않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자신이 주문한 물건이 본인 앞에 도착하기 전까지 생각보다 시간이 많이 걸릴 수도 있습니다. 이런 점들을 충분히 고려하여 운송방법을 결정해야 할 것입니다.

 

     [ 장단점 ]

 

FCL은 컨테이너 한개를 온전히 자신이 혼자 사용할 수 있기때문에 통관시 서류작업이나 통과하는 시간이 짧게 걸립니다. 자신이 주문한 물건에 대해서만 심사를 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수입의 경우 사업자가 혼자서 컨테이너를 쓰는 비용을 다 부담해야 한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창고를 사용하는 비용같은 경우에도 일정 기간까지는 비용이 없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주문한 물건에 대한 분실이나 파손의 위험에서 보다 안전할 수 있습니다.

컨테이너에 적재한 물건들이 고스란히 주문자 본인에게 운송이 되기 때문입니다.

 

 

그에비해 LCL은 자신이 주문한 물건을 적재하는 공간을 다른 주문자와 나눠서 쓰는 것이기 때문

에 비용부담에서 조금은 자유로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물건을 집어넣고 내리는 과정에서 분실이나 파손의 위험이 클수 있기에 항상 그것에 대해서 보험을 들어놓는 다든가 하는 대책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또한 짐의 크기와 무게로 비용이 발생함으로 자신이 주문한 물건에 대해서만 비용을 지불하게 됩니다.

 

 

FCL과 LCL은 이렇게 컨테이너에 물건을 어떤 방법을 통해 들여 오느냐의 문제입니다. 어떤 것이 자신의 사업에 더 좋을지는 잘 생각하시고 판단하셔서 선택하셔야 합니다.

사업이란 것이 늘 선택의 연속이지만 좋은 선택을 통해 또한 사업이 순조로운 순항을 할 수도 있습니다.

8282한중무역은 오늘 무역 용어를 통해 무역에 있어 중요한 운송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계속해서 무역에 대해 공부하시어 발전하시는 사업자분들이 되시길 8282한중무역이 응원합니다.

 

사업자 정보 표시
8282한중무역 | 김용우 |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 29-8 송도씨워크인테라스한라 B동 25층 2528호 | 사업자 등록번호 : 330-01-02885 | TEL : 010-6705-1977 | Mail : 8282kct@daum.net | 통신판매신고번호 : : 제 2023-대전동구-0413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