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8282한중무역입니다. 과거에는 수출, 수입이라는 말은 관련 직종에 종사하는 베테랑들만 하는 일이라고 생각했지만, 지금은 직구를 통해 개인 간에도 무역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정보와 약간의 노력만 있다면 개인의 활동 영역이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넓은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8282한중무역과 함께 정보를 얻어 원하는 것을 진행하시고 필요한 재화를 얻어 만족스러운 삶을 사시길 바랍니다. 오늘은 무역 거래 필수정보인 수입신고필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
![]() |
1. 수입신고필증이란
2. 수입신고필증의 내용
3. 수입신고필증 작성 방법
1. 수입신고필증이란
나라에서 수입을 허락받았다고 증명하는 서류를 말합니다. 해외 구매자는 물품을 수입할 때 세관을 통해서 수입 신고를 하고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허가를 받았다고 증명하는 문서를 수입신고필증이라고 합니다. 서류를 발급했을 때 해당 물품은 국내 물품으로 취급합니다. 중국에서 수입한 물건은 Made in China라고 원산지를 표시하지만, 수입신고필증을 거쳤다면 중국에서 만든 국내 물품이 되는 것입니다.
![]() |
![]() |
수입신고필증이 없으면 선적부터 통관까지 문제가 생기고 잘못하면 밀수범으로 취급받아 형사 재판까지 갈 수 있으니 주의해야 됩니다. 간혹 수입신고필증과 수출신고필증을 혼동하시는 분을 종종 보곤 합니다. 수입 물품에 대해 세관에 수입신고 하여 통관절차를 하면 수입신고필증을 발급합니다. 수출신고필증은 수출 물품에 해당하는 서류입니다.
2. 수입신고필증의 내용
신고자, 신고 번호, 세관과, 신고 일자, 신고 구분 H, C/S 구분부터 상품의 제조자, 통관고유부호, 구매자, 운송 형태, 검사 희망일, 품명, 모델에 보험 관련 내용까지 들어갈 것이 정말 많습니다. 그리고 개인은 관세사를 통해 수입신고필증을 받을 수 있고, 직접 유니패스를 통해 신고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 |
![]() |
하지만 사업자 등록번호를 보유한 자는 사업자의 명의로 유니패스로 수입신고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절차와 방법이 워낙 까다롭기 때문에 보통 관세사나 직구 대행업체에 대행을 맡깁니다. 유니패스 사이트를 통해 온라인으로 하는 방법도 있지만 유니패스 인증서 가격이 만만치 않기 때문에 이왕 돈을 지불해야 한다면 대행업체를 이용하는 쪽을 권장드립니다.
3. 수입신고필증 작성 방법
수입신고필증의 내용은 무척 많아서 모든 것을 다루기는 어렵습니다. 이 장에서는 제일 중요한 앞의 네 항목인 신고 번호와 신고일, 세관과와 BL번호/입항일에 대한 내용을 다루겠습니다. 1. 신고 번호: 수입신고를 하실 때 세관 제출할 때 제출 번호를 받습니다. 제출 번호는 총 14자리입니다. 신고인 부호 5자리, 연도 2자리, 일련번호 6자리, 신고서 식구분 1자리로 이루어집니다.
![]() |
![]() |
2. 신고일: 수입신고 후 세관에 제출하는 날짜입니다. 일반적으로 매주 금요일에 과세 환율 변동이 있으니 유리한 과세 환율이 적용되는 시기에 수입신고를 할 수 있습니다. 3. 세관과: 수입신고를 할 때 물품의 반입지를 기준으로 신고를 해야 합니다. 이는 반입지 관할 세관을 말합니다.
4. BL번호/입항일: 지난 시간 살펴봤던 선하 증권의 BL/AWB 번호를 확인하고 해당 선박의 입항 날짜를 체크합니다. 이처럼 수입신고필증 작성은 관세법, 대외무역법, 관세평가, 외화관리법, 관세표율 등 여러 지식과 경험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개인이 처음 작성하는 것은 무리가 따르며, 대행업체의 도움을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 |
![]() |
지금까지 8282한중무역과 함께 수입신고필증의 개요와 발급 방법, 작성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수입신고필증을 비롯한 각종 무역 제반 서류는 용어와 법률, 경험이 필요하므로 개인이 작성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는 것을 느끼셨을 것입니다. 이럴 때는 믿을 만한 대행업체를 알아보시는 게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