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보세구역 뜻 헷갈릴 수 있어요

카테고리 없음

by 중국구매대행 8282한중무역 2024. 5. 3. 14:25

본문

 

 

안녕하세요. 8282한중무역입니다. 오늘은 보세구역 뜻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중국무역과 관련된 업종에 종사를 하고 있고 중국구매대행 서비스를 이용해 판매사업을 하고 있다면 보세창고, 보세구역을 자주 듣게 됩니다. 보세는 무역업에서는 중요하며 정확한 보세구역의 뜻과 개념에 대해 모르는 사람들이 많으며 브랜드 없이 싼값에 판매하는 의류를 지칭하는 용어로 많이 생각을 합니다.

   1. 보세 뜻

   2. 보세구역 뜻

   3. 의류 용어 보세

 

 

     [ 1. 보세 뜻 ]

 

보세 뜻 보세는 보류 관세의 줄임말이며 수출입 과정 관세의 부과를 유보, 보류하는 것을 말합니다. 관세와 관련된 영어이며 관세는 무역을 빼고는 설명이 불가능하며 무역업, 오픈 마켓 사업에 종사한다면 꼭 알고 있어야 합니다. 보세 관세는 관세가 아직 부과되지 않은 상태로 세금이 부과되지 않은 것입니다. 외국에서 수입되는 모든 물건은 반드시 세관을 통과하는 절차를 거쳐야 국내로 들어올 수 있으며 이런 과정에서 물품의 주인은 관부가세를 지불하게 됩니다.

 

 

관세가 부과되지 않았다면 아직 통관 절차가 끝나지 않은 것으로 국내 물건이 들어와도 주인은 물건을 수령할 수 없습니다. 관세 보류가 되었다면 아직 정식 통관 승인을 받지 않았으며 유통, 판매를 할 수 없고 물품 수령도 불가능합니다. 수령을 할 수 없고 유통 판매도 불가능하다는 것은 실제 물건이 배, 비행기를 타고 국내로 들어왔지만 아직까지는 국내 들어왔다고 말할 수 없는 상태입니다. 서류상으로는 물건이 국내에 있지 않는 상태와 같기 때문에 관세 보류 상태에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습니다.

 

 

서류상 해외 배대지에서 출항을 했지만 해외 물품도 아니며 통관절차가 끝난 것도 아니라 국내 물품으로 승인이 된 것도 아닙니다. 애매한 상황으로 이런 상태로 물품을 보관하는 것을 우리는 보세구역이라고 합니다. 대부분 수입한 물건을 가장 먼저 받는 각 항구 공항이 해당되며 해당 구역은 실제 국내 영토지만 관세법상 국내도 아닌 외국도 아닌 중간 제대의 구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보세구역 뜻 ]

 

보세구역 뜻은 보류관세 물품이 보관되는 구역으로 지정구역 특허구역 종합구역 3가지가 있으며 가장 먼저 지정구역은 세관 관할이며 세관의 직접 관리를 받습니다. 이 구역은 세관검사장 지정장치장으로 다시 분류를 진행하고 지정자치장은 통관을 해야 하는 물품들을 일시적으로 보관을 하는 곳입니다. 세관 검사장의 경우 통관이 필요한 물품을 세관이 직접 검사를 하는 곳입니다.

 

 

지정장치장에 들어간 물건도 무조건 세관의 검사가 필요한 것은 아니며 세관검사장으로 들어간 물건들은 세관의 검사를 사전에 받도록 되어 있습니다. 검사가 필요한 물건은 주로 위험하고 부적절한 물건이 들어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물건들을 검사하게 됩니다.

 

특허구역의 경우 개인, 법인 사업자가 세관장으로 특별히 허가를 받은 개인적으로 운영을 하고 있는 독립된 사유지와 비슷합니다. 구매대행 서비스를 이용하면 업체들로부터 물건이 지금 보세창고에 있다고 한다면 구매대행업체 물류사 측에서 개인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보세창고가 바로 특허구역이며 무역실무는 약자로 CFS라는 말을 사용하게 됩니다.

 

 

구매대행업체, 물류사가 운영을 하고 있는 보세창고는 특허구역의 중류 중 하나에 속하고 있으며 종류로 창고 외 공장, 판매장, 전시장 등 다양합니다. 종합구역은 앞의 다양한 특징 기능 2가지 이상을 동시에 가지고 있습니다. 대부분 특수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외국자본투자지, 산업단지, 해외자본전용산업단지 등 중 관세청장이 무역 진응을 위한 검토, 선별한 곳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관세청에서 외국기업 해외자본의 투자 유치를 위해 관세를 면제, 보류하는 등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서입니다.

 

 

     [ 3. 의류 용어 보세 ]

 

무역업에 종사하지 않는 일반인들의 경우 보세 용어는 의류와 관련된 용어로 접하게 됩니다. 보류관세에서 파생된 용어로 현재 의류 관련 사용을 했을 때 정식 브랜드에서 출시한 컬렉션 제품이 아닌 브랜드 없는 값싸게 판매하고 있는 옷을 의미하고 있으며 노브랜드입니다.

 

 

중국, 동남아시아에서 의류 OEM 위탁 생산을 많이 하는 것처럼 과거는 우리나라 의류 제조업을 많이 했으며 1970년 당시 정부는 위탁 생산 의류의 수출 장려를 위한 보세제도를 실시했습니다. 해외 고급 원단을 수입해 국내 노동자들이 수공업으로 양질의 제품을 생산하며 다시 해외에 되팔아 이윤을 남기는 것입니다.

 

사업자 정보 표시
8282한중무역 | 김용우 |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 29-8 송도씨워크인테라스한라 B동 25층 2528호 | 사업자 등록번호 : 330-01-02885 | TEL : 010-6705-1977 | Mail : 8282kct@daum.net | 통신판매신고번호 : : 제 2023-대전동구-0413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