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8282한중무역입니다. 중국 수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수입 과정에 필요한 절차나 용어, 비용 등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어떻게 수입이 진행되고 비용이 발생하는 부분을 정확히 알아야 제품 단가에 대해 판단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컨테이너 국내수입비용에 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중국뿐만 아니라 해외에서 수입을 하기 위해서는 컨테이너에 대한 부분을 꼭 알고 있어야 합니다.
중국에서 물건을 수입하는 분들은 대부분 우리나라 제조상품에 비해 저렴한 단가로 인해 찾으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가격도 국내 시장에 비해 저렴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제품을 만날 수 있어 중국 시장을 찾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스마트 스토어를 운영하거나 여러 아이템을 판매하시는 분들을 보면 대부분 중국 시장에서 수입해서 판매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국내 공장이나 시장에서 수급하는 것보다 훨씬 가격적인 면에서 우수하면서 국내에서 보기 어려운 다양한 종류의 제품도 만날 수 있는 중국 시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수입 과정과 비용에 대해서 알고 있어야 합니다. 저렴한 단가와 다양한 제품을 우리나라에서 판매를 하려면 수입 비용까지 꼼꼼하게 체크할 줄 알아야 더 많은 이윤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수입 절차와 비용에는 다양하고 복합적인 내용이 들어가는데 이를 한 번에 설명하기에는 너무 길고 어려우니 나누어서 설명을 해드리겠습니다.
오늘은 기본적으로 생각하시는 물류비용 이외에도 추가되는 컨테이너 국내수입비용과 그 외 다른 부대비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컨테이너로 수입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물류비용을 어느 업체나 비슷하게 발생하지만 이용하는 선사에 따라 금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THC
Terminal Handling Charge는 THC라고 사용되고 있으며 터미널 핸들링 비용을 말합니다. 인보이스상 THC 명목으로 청되며 이 비용은 중국수입대행을 진행할 때 발생하며 발생하는 이유는 터미널에서 컨테이너를 처리하고 관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수입 화물의 경우에는 THC in Discharge라고 표현하며 선박 선 측에서 터미널 게이트 통과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으로 기억하시면 됩니다. 중국 구매대행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대략 690위안 정도 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이용하는 업체마다 비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CCF
Container Cleaning Fee는 CCF로 사용되며 컨테이너가 국내에 도착한 후 컨테이너 내부에 있는 화물들을 꺼낸 다음 비어진 컨테이너 내부의 세척이나 남아있는 폐기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관리 비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컨테이너는 사용 후에 다시 사용되기 때문에 이 같은 세척, 관리가 진행됩니다. 컨테이너에 관한 관리 비용으로 사실상 물류비용에 해당하는 비용입니다. 중국 구매대행을 하는 때에는 보통 한화로 25,000원 정도로 부담 없는 금액입니다.
Document Fee는 DOC로 일종의선하증권을 발행하는 발급 수수료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수출하는 경우에는 무조건 Bill of Landing , B/L이 발급되는 데 선사나 포워딩에서 B/L을 발급하고 비용을 화주에서 청구하는 것입니다. 중국 구매대행을 진행할 때 반드시 발생하는 비용으로 통상적으로 중국에서 수입해올 때는 5만 원에서 7만 원 정도의 비용이 발생합니다.
Wharfage는 WFG로 사용되며 세금계산서상에 포함되지 않는 비용으로 부가가치세 면세와 영세율에 해당하는 비용을 말합니다. 대부분의 수출을 진행하는 분들이 이 비용이 세금계산서에 적혀있지 않아 따로 문의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포함되지 않는 것이 정상으로 알고 계시면 됩니다.
항만시설을 유지하고 관리하기 위해서 지불되는 비용으로 항구마다 다른 사용료가 책정되어 있어 이용하는 항구의 금액을 정확하게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 중국 천진항에서 한국의 평택항으로 들어올 때는 약 4,200원의 비용이 발생합니다. 컨테이너 국내 수입비용은 오늘 알려 드린 비용들이 포함되어 발생하니 참고하셔서 안전한 중국 수입 대행을 진행해 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