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8282한중무역입니다.
보통 사람들이 보험을 드는 이유는 갑자기 다치거나 사고가 났을 때 안정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입니다.
질병이나 자동차 사고 시에도 보험이 없다면 갑자기 많은 비용이 나갈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보험을 드는 것은 당연한 행동입니다.
국가와 국가 간에 무역을 하는 데 있어서도 운송의 과정에 예상치 못한 많은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국가 간의 무역 과정은 오랜 기간이 필요하기에 아무 사고 없이 물건이 구입자에게 들어오는 것이 사실 더 어려운 일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런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적하보험을 드는 무역업자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구입한 물건들에 대해 아무리 철저하게 포장을 진행하셨다고 해도 물건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파손될 수 있는 고비가 많이 있습니다.
만일 물건에 사고가 발생하여 파손이 심각하다면 어디에서 잘못된 것인지 분명하게 과실을 따질 수 없는 경우 또한 많기에 적하보험을 드시는 것은 필수적인 부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생활보험이 그렇듯이 무역에 환경과 상황, 물건의 가격 등에 따라 보험 가입 비용도 다르고 가입 대상도 다를 수 있습니다. 8282한중무역에서는 오늘 무역에 있어서 필수적인 부분인 적하보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적하보험 ]
해상, 항공으로 주문한 물건을 운송하실 때 발행하는 사고에 대해 피보험자가 보험료를 내고 보상을 보장받는 보험입니다. 운송하는 물건의 각종 파손 위험과 사고에 대해 보상을 받기 위해 드는 보험인 것입니다. 사업을 하는 사람이라면 다양한 보험을 들기 마련입니다. 무역에 있어서 위험을 최소한으로 리스크를 관리하는 것을 필요한 일입니다.
그러나 보험을 가입하시는 것이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인코텀즈 조건에 따라 꼭 가입하셔야만 할 경우도 있기에 먼저 여러 가지 상황에 대해 미리 알아보시고 보험사를 통해 가입을 진행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적하보험 같은 경우는 단순히 물건 몇 개에 대한 손상이라던가 포장의 파손 정도의 문제가 아니라 전손같이 사업자에게 큰 타격을 줄 수 있는 사고를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것입니다.
만일 보험을 가입하지 않으시고 무역하실 때 수입업자와 수출업자 양쪽 모두의 손해에 대해 손실에 대한 분담을 해야 할
상황에 부딪치게 되면 그 상황을 처리하는 과정은 매우 복잡하기에 보험사 없이 무역대행업체만으로 그것을 해결하기에는 매우 어렵습니다. 이런 경우는 없어야겠지만 화재로 인해 물건과 선박 양쪽 모두가 큰 손실을 입어서 공동 손해를 통해
분담을 해야 할 경우 가입하신 보험사에서 대신 부담해 줄 수 있습니다.
[ 적하보험 약관 ]
200여 년 전부터 사용되온 영국의 보험에서 계약에 관한 조항으로 분류되어 있는 구약관에 따르면 A/R, WA, FPA 등으로 구분하고 있고 1982년 제정된 조건에 따른 신약관에서는 ICC, A, C로 구분하여 적하보험을 처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구약관이나 신약관으로 구분하는 것이 요즘에는 특별한 장점이 없기 때문에 어떤 것을 선택하셔서 사용하시든지 괜찮습니다. 그러나 각각이 가진 차이점은 분명 존재합니다.
![]() |
![]() |
구약관에서 A/R은 전 위험담보조건을 의미하는 만큼 담보위험의 범위가 가장 넓다고 볼 수 있습니다.
Nagative List로 담보하지 않는 위험만을 나열하게 됩니다. W.A는 분손담보조건을 의미하고 W.A 3퍼센트와 WAIOP가
가장 일반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F.P.A는 단독해손부담보조건을 의미하고 담보위험을 Positive List로 나열됩니다.
ICC의 경우 약관에서 정한 면책사항을 제외한 모든 위험을 담보하는 포괄책임주의를 취하고 있습니다.
![]() |
![]() |
적하보험의 경우 제품, 도착 지역, 운송 특성에 기본 보험료를 더해 보험료를 산정하여 보험료를 계산하게 됩니다.
파손의 위험이 높은 물건 같은 경우에는 당연히 보험료가 높을 수밖에 없고 위험성이 큰 물건인 경우에는 추가 보험료가
요구될 수도 있고 특수 컨테이너가 필요할 수도 있으며 또 제한이 될 수도 있습니다.
![]() |
![]() |
[ 보험 청구 과정 ]
손해 평가 : 물건에 손해가 발생한 것에 대해 정확한 파손에 대한 상태를 확인, 평가가 필요합니다.
사진 촬영, 손상되기 전의 상태와 손상에 대한 기록을 해놓는 것이 중요합니다. -> 보험회사에 손상받은 사실을 알려야
합니다.
보험회사에서 요구하는 필요서류를 준비하여 제출하여야 합니다. -> 보험회사에서 손해에 대한 사실을 조사합니다.
조사관이 부족한 정보에 대하여 추가로 자료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 보상의 결정 : 보험회사에서 보상 여부에 대한 결정이 내려지게 되면 손해 보신 것에 대한 보상 금액을 결정, 수령하게 됩니다.
![]() |
![]() |
8282한중무역에서 적하보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국가 간의 무역에 있어서 정말 여러 가지 일과 문제가 늘 일어나게 됩니다. 생각지도 못한 사건, 사고에 대해 철저하게 대비할 수 있는 부분은 대비하시는 것이 현명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적하보험에 가입하셔서 앞으로의 여러 문제들에 대비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