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8282한중무역입니다. 최근 중국에서 물건을 들여와 판매를 진행하시는 분들이 많아지면서 수입 통관 관심이 모아지고 있으며 이에 들어가는 비용을 어떻게 하면 줄일 수 있을지 문의를 많이 주고 계십니다. FTA라는 말을 들어 보셨을 겁니다. 중국 수입을 진행하게 되면 이 부분을 통해 관세에 대한 비용을 절약할 수가 있습니다.
8282한중무역에서 FTA란 어떤 것인지 정리를 해봤습니다. 중국 수입 무역을 진행하시는데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FTA Free Trade Agreement 자유무역협정이라고 합니다. 지역과 국가별 수출입을 진행하면서 보다 자유로운 무역을 위해 무역에 관한 제도 부분을 완화 또는 제거해주는 나라 간 협정을 뜻합니다.
수출입 무역을 진행하는 나라 간 어떤 FTA를 맺었는가 따라서 관세에 큰 영향을 줄 수 밖에 없습니다. 관세는 품목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보통 8~13% 책정이 되어 있습니다. FTA를 이용하게 되면 관세에 들어가는 비용을 절감하여 비용 부담을 덜 수 있습니다. 본인이 중국 수입을 진행하고자 하는 품목의 제품이 FTA에 해당이 되는지 먼저 알아보고 기타 다른 관련 비용을 산정하는 것이 지혜로운 수입 진행을 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FTA란 어떤 것인지 정확히 알게 되었다면 이를 위해 어떻게 관세 절약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야 합니다. 제일 먼저 HS CODE 확인이 필요합니다.
[ HS CODE ]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Harmonized Commodity Description And Coding System, 세계관세기구에서 부여한 상품별 고유 번호를 이야기합니다. 국제 HS CODE는 총 6자리며, 국내에서는 4자리를 추가로 더 부여하여 총 10자리 표시를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간단히 말해 상품분류코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워낙 다양하고 많은 물품이 해외에서 들어오고 있기 때문에 HS CODE를 통해서 품목이 대략 어떤 분류에 해당이 되는지 쉽게 알 수 있고 수입 통관 절차를 보다 체계적이고 간단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관세 세율은 HS CODE에 따라 부과가 되며 FTA 진행 사항이 없는 품목이라 하더라도 세율을 측정하여 비용 산정을 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합니다.
![]() |
![]() |
수입 진행을 하기 이전에 제품 HS CODE를 확인 한 후 기존에 부과되는 관세가 원산지 증명 발급 비용보다 저렴한 경우에는 진행하지 않는 것을 권해 드리며 반대일 경우 원산지 증명을 받은 뒤 FTA 관세율 적용을 받은 후 수입 진행을 하시는 것을 8282한중무역에서 권장합니다.
![]() |
![]() |
[ FTA ]
FTA란 원산지 증명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이 작업을 진행한 뒤에 관세 절감 혜택을 받아 보실 수 있다는 점 반드시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위에 말씀드렸다시피 FTA 없이 관세로 들어가는 비용이 원산지 발급 비용보다 적게 들어가는 경우에는 굳이 이 방법을 통해 진행하실 필요가 없는 것이지 꼭 HS CODE를 잘 체크해 보시기 바랍니다.
![]() |
![]() |
HS CODE는 관세법령정보포털 사이트에 방문해 상품을 검색하고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사이트에서 제품의 관세가 몇 프로 적용이 되는지 FTA 요건에 충족하는지 등의 정보를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관세의 경우 알아보는 곳마다 해당 정보가 명확하지 않다 보니 되도록 여러 곳을 확인하여 체크해 보시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 |
![]() |
세율이라고 하는 것이 품목에 따라 워낙 다양하고 광범위하니 정확한 정보를 체크하여 수출입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FTA 중국 수입 진행을 위해서 원산지증명서를 받아야 합니다. 이는 세관 또는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받을 수 있는 증명서입니다. Certificate of Origin, CO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원산지증명서는 아주 사소한 오류가 있어도 관세 적용이 반려가 되는 경우가 많으니 이점 기억하시고 꼼꼼히 체크하여 발급받으셔야 합니다.
![]() |
![]() |
모든 품목에 있어 원산지 증명을 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니 가장 우선 적으로 수입하려는 품목이 FTA 통관이 가능한 품목인지 가능한 국가인지 먼저 체크하셔야 합니다. 8282한중무역에서 알아본 FTA란 어떠한 제도인지 관련된 정보가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